SEONGMUNAN
“자연과 건축은 어떻게 만나야 하는 것인가?”
건축의 가장 오래된 본질을 담은 질문에 대한 대답을 구하고,
건축 행위가 자연을 훼손하지 않으며,
주어진 자연을 건축의 일부로 담아내는 것이 중요한 프로젝트였다.
더 나아가 장소가 가진 원형의 지형에 대한 기억, 오래전 성문안 마을이 담고 있었던 지형과 풍경을 기억하고
느낄 수 있는 공간과 장치를 통해 건축을 구성하고자 했다.
계곡을 사이에 둔 언덕 위에 위치한 클럽하우스 부지는 랜드마크로 인식되는 지배적인 건축이 만들어지기에 완벽한 위치였다.
그러나 우리의 건축적 판단은 산과 강을 연결하는 계곡사이의 솟아올라 있는 자연 그대로의 언덕지형에 장소와 풍경을 양보하고,
그 뒤에 자리 잡도록 함으로써 개발로 인해 흐트러진 지형을 연결하는 지형적인 건축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섬강으로부터 연결되는 성문안 마을의 오래된 풍경을 보전하고,
강으로부터 유입되는 관광객, 보행자들이 자연스럽게 강과 계곡을 따라 걸으며,
지형과 자연스럽게 연결된 클럽하우스의 옥상공원에 도달하게 된다.
클럽하우스에는 관광객과 지역주민, 골프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커뮤니티를 위한 카페, 갤러리, 공원, 전망대, 공연장, 휴식시설이 위치해,
모두에게 열린 하나의 문화시설로 작동하게 되고, 클럽하우스를 지나, 뮤지엄산, 트래킹코스로 향하는 중요한 결절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클럽하우스는 다양하게 연결되어지는 자연지형이 만나 연결되는 전이공간인 동시에 다양한 방향에서 접근하는 골퍼, 투숙객, 보행자, 관광객들에 대응하여 자연스러운 진입과 이동이 가능한 삶을 위한 전이공간이 된다. 중정, 공간화 된 계단, 램프 등의 건축적 장치들을 통해, 그곳에 오랫동안 자리했던 땅의 흔적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고자 했다.
화려함, 고급화, 프라이버시의 대명사인 클럽하우스를 자연의 일부로, 누구나 접근 가능한 오픈 된 공간으로 만들어
지역의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부여하고, 건축은 자연에 순응하며, 더 나아가 지형의 일부로 작동하는 건축을 통해,
오랜 시간 그 자리에 있었던 자연, 경관의 회복을 이야기하고자 했다.




























